전체 글 1708

[이사야 성경 좋은 말씀] 메시아를 통한 이스라엘의 회복(사 49:1-26)

이사야 49장에서는 메시아 사역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다. 하나님은 메시아인 예수님을 통해서 이스라엘 백성을 회복할 것이다. 예수님은 구약에서 예언되었다.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고 더 나아가 선택한 백성을 구원한다. 우리는 메시아인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았다. 메시아를 통한 이스라엘의 회복(사 49:1-26) 1-7절, 여호와의 종[1-3절] 섬들아, 나를 들으라. 원방 백성들아, 귀를 기울이라. . . .이사야는 말한다. “섬들아, 나를 들으라. 원방 백성들아, 귀를 기울이라. 여호와께서 내가 태에서 나옴으로부터 나를 부르셨고 내가 어미 복중에서 나옴으로부터 내 이름을 말씀하셨으며 내 입을 날카로운 칼같이 만드시고 나를 그 손 그늘에 숨기시며 나로 마광한 살을 만드사 그 전통에 감추시고 내게 이르시되 너는..

[예레미야 39장 복음 설교말씀] 예루살렘의 멸망(렘 39:1-18)

예레미야 39장에서는 예루살렘이 바벨론에 의해서 함락되고 멸망하는 이야기가 기록되었다.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 왕은 하나님 앞에서 교만했다. 시드기야는 눈이 빠지게 되고 그의 아들들은 살해되었다. 예레미야는 바벨론 포로에서 해방되었다. 예루살렘의 멸망(렘 39:1-18) [1-3절] 유다 왕 시드기야의 9년 10월에 바벨론 왕 . . . .유다 왕 시드기야의 9년 10월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과 그 모든 군대가 와서 예루살렘을 에워싸고 쳤는데, 시드기야의 제11년 4월 9일에 성이 함락되었다[뚤렸다]. 예루살렘 성은 대략 1년 6개월 만에 함락되었다. 예루살렘 성이 함락되자 바벨론 왕의 모든 방백들이 들어와 중문에 앉았는데, 곧 네르갈사레셀과 삼갈르보와 환관장 살스김과 박사장 네르갈사레셀과 바벨론 ..

[시편 84편 설교말씀] 하나님의 집을 사모함(시 84:1-12)

시편 84편에서는 하나님의 성전을 시편 기자가 사모하고 있다. 성도는 교회를 사모하여 예배를 드려야 한다. 하나님과 함께하기를 원하고 주님을 섬기면서 인생을 살아야 한다. 만군의 여호와여 주께 의지하는 자는 복이 있다고 했다. 우리도 하나님을 의지하여 큰 복을 받는 성도가 되어야 한다. 하나님의 집을 사모함(시 84:1-12) [1-2절] 만군의 여호와여, 주의 장막이 어찌 그리 사랑스러운지요. 내 영혼이 여호와의 궁정(宮庭)(카체르)[뜰]을 사모하여 쇠약함이여, 내 마음과 육체가 생존하시는 하나님께 부르짖나이다.시편 저자는 하나님의 성막과 멀리 떨어져 있고 그곳에 자유로이 갈 수 없는 처지에 있는 것 같다. 그는 하나님의 장막을 심히 사랑스럽게 여기며 그의 뜰을 사모하여 그의 영혼이 쇠약할 정도이었다...

[이사야 41장 설교말씀] 고레스의 세상 정복과 이스라엘 구원 약속(사 41:1-29)

이사야 41장에서는 고레스의 세상 정복에 대해서 말씀한다. 하나님은 고레스 왕을 통해서 이스라엘 백성을 바벨론에서 해방시켰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통해서 성도를 구원시켰다. 지금도 하나님은 세상에서 죄악가운데 고통받는 백성을 구원하고 있다. 고레스의 세상 정복과 이스라엘 구원 약속(사 41:1-29) 1-16절, 내가 너를 도우리라[1-4절] 섬들아, 내 앞에 잠잠하라. 민족들아, 힘을 새롭게 하라. . . .이사야는 말한다. “섬들아, 내 앞에 잠잠하라. 민족들아, 힘을 새롭게 하라. 가까이 나아오라. 그리하고 말하라. 우리가 가까이 하여 서로 변론하자. 누가 동방에서 사람을 일으키며 의로 불러서 자기 발 앞에 이르게 하였느뇨? 열국으로 그 앞에 굴복케 하며 그로 왕들을 치리하게 하되 그들로 그의 칼에 ..

[시편 78편 성경말씀] 감사하지 않은 죄와 우상숭배 죄(시 78:34-72)

시편 78편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 앞에서 거짓으로 회개하는 죄를 말씀하고 있다. 진정한 회개가 없으면 안 된다. 또한 하나님 앞에서 감사하지 못한 죄를 책망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은혜를 주셨는데도 감사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죄다. 우상을 숭배하는 것도 죄다. 우리는 하나님께 감사하면서 하루하루의 삶을 살아야 한다. 감사하지 않은 죄와 우상숭배 죄(시 78:34-72) 34-72절, 하나님께서 징벌하심[34-39절] 하나님이 저희를 죽이실 때에 저희가 그에게 구하며 돌이켜 하나님을 간절히 찾았고 하나님이 저희의 반석이시요 지존하신 하나님이 저희 구속자이심을 기억하였도다. 그러나 저희가 입으로 그에게 아첨하며 자기 혀로 그에게 거짓을 말하였으니 이는 하나님께 향하는 저희 마음이 정함이 없으며 ..

[역대하 21장 성경 주석말씀] 여호람의 악정(대하 21:1-20)

역대하 21장에서는 여호람의 악정에 대해서 하나님이 말씀한다. 여호사밧이 죽고 여호람이 왕이 되었다. 여호람이 왕이 된 후에 자기 동생들을 모두 죽였다. 자기의 왕권에 도전할 것 같으니까 죽였다. 여호람은 아합의 집고 같이 하여 아합의 딸이 그의 아내가 되었다. 여호람의 악정(대하 21:1-20) [1-7절] 여호사밧이 그 열조와 함께 자매 그 열조와 함께 . . . .유다 왕 여호사밧은 그 열조와 함께 잠들어 그 열조와 함께 다윗 성에 장사되었고 그의 아들 여호람이 대신하여 왕이 되었다. 여호사밧의 아들 여호람의 여섯 명의 아우들 아사랴와 여히엘과 스가랴와 아사랴와 미가엘과 스바댜는 다 유다 왕[이스라엘 왕](원문, 영어성경들) 여호사밧의 아들들이다. 그들의 부친이 그들에게 은금과 보물과 유다 견고한 ..

[성경인물 주일말씀 설교문] 겸손한 자 모세(출 4:1-7)

구약에서 하나님께 칭찬받은 사람이 모세입니다. 모세는 예수님의 모형을 닮고 있습니다. 율법의 대표이면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구원한 사람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려고 애굽에서 나왔습니다. 광야에서 모든 불평과 악평을 받으면서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했습니다. 예수님도 유대인들에게 핍박을 받고 십자가에서 죽었습니다. 모세를 통해서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아야 하겠습니다. 겸손한 자 모세(출 4:1-7) 서 론 모세는 구약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모세는 히브리 민족의 지도자요, 율법의 전달자이며 40년 동안 해방된 민족을 이끈 자요, 그는 성경의 저자요, 동시에 군인이며 정치가였습니다. 모세의 일생의 1기와 2기의 삶은 성공같으나 실패의 삶이었습니다. 실패만 거듭하던 모세가 호렙산에서 하나님..

[교회 레크레이션 게임] 설날 명절 구원 윷놀이 게임 놀이

설날 명절이 되면 가정에는 많은 지인들이 오게 됩니다. 많은 손님이 왔을 때 무엇을 할까 고민하게 되는데 우리의 전통놀이인 윷놀이를 가지고 기독교적으로 바꾸어서 게임을 하면 재미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게임을 할 수 있고 힘들이지 않고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교회에서 성도들이 함께 모여서 해도 좋습니다. 교회에서 레크레이션 게임으로 안성맞춤입니다. 주일학교 학생들과 함께 윷놀이를 해도 좋습니다. 말판과 경기 규칙은 아래에 있습니다. 우리의 전통놀이인 윷놀이를 통해서 교회와 가정에서 재미있게 자녀들과 성도들이 함께 설날 명절을 보내시기 바랍니다."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나의 구원 윷놀이 게임 놀이  ※ 경기 규칙1. 윷놀이의 아래를 제..

성경공부자료 2023.01.17

[성경인물 원어설교문] 아하시야(아하즈야 274) 여호와께서 잡으셨다

마태복음 족보는 아브라함부터 예수님이 오실 때까지 족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이 42대 만에 오신다고 했는데 그 족보에는 구약의 왕들 중에서 의도적으로 마태가 뺀 왕들이 있습니다. 그중에 한 명이 아하시야 왕입니다. 하나님은 주권적으로 아하시야 왕을 예수님 족보에서 빼버렸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이며 하나님의 뜻입니다. 아하시야(아하즈야 274) 여호와께서 잡으셨다, 여호와의 소유.  하나님께서는 예수그리스도의 족보에서 악한 왕들을 빼버렸습니다. 그러나 악하게 행하였던 왕들도 구속사 계보에 들어간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람과 웃시야 사이에 하나님께서는 4명의 왕을 하나님께서는 의도적으로 빼버렸습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고 있습니까? 구속사의 계보에 올라가는 사람은 인간에게 있는 것이 아니..

[로마서 4장 성경주석말씀] 아브라함의 믿음(롬 4:1-8)

로마서 3장에서는 아브라함의 믿음에 대해서 말씀한다. 아브라함도 하나님을 믿음으로 구원받았고 의롭게 되었다. 아브라함이 행위로 의롭게 된 것이 아니라고 했다. 행위로 의롭게 되었다면 하나님 앞에서 자랑할 것이 있다. 인간이 자기의 의로 구원받았다면 하나님 앞에서 삯으로 받은 것이요 자랑할 것이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게 되었고 구원받았다.  아브라함의 믿음(롬 4:1-8) 여기서 사도는 아브라함에 행위가 아니라 신앙에 의해서 의롭게 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모든 인류 중에 자기들이 누리는 특권과 자기들이 행위에 의해서 의의 몫을 차지하겠다고 그렇게도 떠들어대는 민족은 유대인이었다. 따라서 그는 그들의 조상 아브라함의 경우를 예로 들어 호소하는 가운데히브리인 중에 히브리인인 자신도 여기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