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 원어 설교

[요한복음 헬라어 성경 좋은 말씀] 세례 요한의 사역 시작(요 1:19-22)

체데크 2022. 2. 17. 13:02
반응형

요한복음 1장에서 세례 요한이 사역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랬더니 많은 사람이 세례 요한에게 와서 세례를 받기 시작합니다. 유대인들은 세례 요한이 누구인지 알고자 하여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을 세례 요한에게 보냈습니다. 

 

세례 요한의 사역 시작(요 1:19-22)

 

19절 카이 아후테 에스틴 헤 마르튀리아 투 이오안누 호테 아페스테일란 호이 이우다이오이 엑스 히에로솔뤼몬 히에레이스 카이 레위이타스 히나 에로테소신 에로테소신 아우톤 쉬 티스 에이

성 경: [요1:19]

주제1: [하나님 아들의 성육신]

주제2: [세례 요한의 증언]

사도 요한은 다른 복음서들(마태복음, 누가복음)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에 대해서 알고 있던 당시의 성도들에게 다시 반복해서 성육신 기사를 쓰지 않는다. 따라서 저자 요한은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직전부터 복음서의 본문을 기술하고 있다. 사도 요한은 그리스도의 공생애 직전의 상황을 세례 요한과 결부시키고 있다(19-36절). 이는 세례 요한이 말씀이신 그리스도의 증거자임을 입증(立證) 하기 위한 것이다(6, 7,15). 당시 세례 요한은 하나님 나라의 선포와 회개의 촉구 그리고 세례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었다. 더구나 군중들 중에 일부는 세례 요한을 메시야로까지 간주하기도 하였다(눅 3:15;13:25). 이러한 현상은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한 종교 지도자들의 민감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따라서 당시의 종교 지도자들의 공회인 산헤드린은 요한의 정체를 탐지할 사람들을 파견했던 것이다. 모세 율법에 대한 해석을 주해한 미쉬나(Mishna)에 의하면 거짓 선지자에 대한 규명과 재판이 산헤드린 공의회의 주요 직무 중 하나로 규정되어 있었다.

󰃨 요한의 증거 - '증거'란 바로 요한의 사명이며(7), 그의 사역은 말씀이며 구원의 빛이신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구약의 마지막 선지자로서의 역할이었다.

20절 카이 호몰로게센 카이 우크 에르네사토 카이 호몰로게센 호티 우크 에이미 에고 호 크리스토스

성 경: [요1:20]

주제1: [하나님 아들의 성육신]

주제2: [세례 요한의 증언]

󰃨 드러내어 말하고 숨기지 아니하니 - 원어상으로 볼 때 저자는 본절에서 헬라어 접속사 '카이'를 무려 3회에 걸쳐 병렬적으로 기록하므로 진솔하고도 꾸준한 증거자인 세례 요한의 태도를 암시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표현은 세례 요한이 자신의 하고자 하는 답변의 심각성을 분명히 드러내고자 하였던 의도를 보여준다. 특히 '드러내어 말하고'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고백하다', '확언하다'라는 뜻을 지닌 '호몰로게오'의 부정 과거형으로서 요한의 증언이 믿음의 호가신으로 말미암은 고백적 증언임을 보여준다.

󰃨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라 - 산헤드린으로부터 파견된 자들의 입에서는 메시야에 관한 말이 전혀 나오지 않았으나, 세례 요한은 이미 그들의 의도를 정확히 읽고 있었다. 그는 자신을 메시아로 오해할 수 있는 일체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단호한 어투로 말한다. 특히 세례 요한은 ''라고 하는 1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는 강조법으로써 예수의 탁월성에 자기 자신을 비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용법은 본장에서만도 여러 차례 반복된다(23, 26, 29, 30, 31, 33, 34). 여기에서 세례 요한이 강력하게 부인했던 '그리스도'란 히브리어인 '메시야'와 같은 의미를 지닌 헬라어 표현으로서 '기름부음을 받은 자'란 뜻이며 예서 언약을 완성하시고 하나님의 나라를 창조하실 분을 지칭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나라' 개념은 이스라엘의 선민사상과 융합되어, 식민지적 상황을 종식시켜 줄 정치적 메시야 사상으로 변질되었다. 즉 유대인들은 메시야 사상으로 변질되었다. 즉 유대인들은 메시야와 세속적인 왕을 동일시하는 오류에 빠졌다. 따라서 세례 요한이 자신이 그리스도가 아님을 강력히 천명했던 것은 (1) 옛 언약의 완성이자 새 언약의 창조자이신 그리스도의 증언자로서의 사명을 자각하였음과 (2) 로마 제국으로 하여금 자신을 제국에 반대하는 정치적 모반자(謀叛者)로 오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21절 카이 에로테산 아우톤 티 운 엘리아스 에이 쉬 카이 레게이 우크 에이미 호 프로페테스 에이 쉬 카이 아페크리데 우

성 경: [요1:21]

주제1: [하나님 아들의 성육신]

주제2: [세례 요한의 증언]

󰃨 네가 엘리야냐 - 이것은 당시 세례요한이 (1) 약대 털옷을 입고, (2) 금욕적인 식사를 하고, (3) 이스라엘을 향해서 회개를 선포하고, (4) 헤롯의 비리를 꾸짖은 행동들이 구약의 엘리야를 연상케 한 점도 아울러 작용했던 질문이었다.

󰃨 나는 아니라 - 예수께서 세례 요한을 엘리야라고 한 말씀(11:14;17:12)과 비교해 보면 본 증언은 오류로 보일 것이다. 또한 세례 요한이 '드러내어 말하고 숨기지 아니한'(20) 증언이 거짓으로 판명날 것이다. 또한 요한의 이러한 대답은 23절과도 어긋나게 보인다. 그러나 사두개인들의 질문의 배경을 자세히 분석하면, 요한의 대답이 거짓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당시 유대인들은 랍비들이 주로 이용한 자구적(字句的) 성경 해석을 따랐다. 따라서 하나님의 나라가 완성되려면 먼저 하늘로 승천했던 엘리야가 다시 와서 메시야의 도래를 준비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사두개인들의 질문은 세례 요한이 바로 '구약의 엘리야인가?'라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요한의 대답을 헬라어 원문으로 보면, '우크 에이미'이다. 이는 20절의 '나는 아니다'(우크 에이미 에고)와는 그 표현 강도가 다르다. 즉 여기에서 세례 요한의 대답은 20절의 강조형(에고)를 취하지 않는다. 이는 세례 요한이 '결코 그리스도가 아니며, 당시 유대인들이 인식한 엘리야도 아님'을 잘 드러내는 표현이다. 한편 세례 요한을 엘리야로 비유한 예수의 말씀(11:14;17:12)도 정당한 것이다. 즉 세례 요한은 실제 엘리야가 아니라 단지 선지자 말라기가 예언한 엘리야적 사역 즉 '주의 길을 예비하는 자로서의 사역을 수행하는 자'였다(4:5,6).

󰃨 네가 그 선지자냐 - 요한의 두 번째 대답과 사두개인들의 질문 사이에는 원문상으로 접속사가 없는데 이는 사두개인들의 집요한 질문 공세로 발생하는 긴장 관계를 현장감 있게 드러내는 문장 구성 양식이다. 본문에서 '그 선지자'(호 프로페테스)란 모세가 예언한 '나와 같은 한 선지자'(18:15)를 가리킨다. 따라서 공동번역은 '우리가 기다리던 그 예언자'라고 번역했다. 이는 '그 선지자'란 개념이 곧 메시야와 직결됨을 시사한다(7:40). 성령 강림(降臨) 후에 사도들은 '그 선지자'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라는 사실을 명확하게 이해했으며 이를 선포했다(행 3:22;7:37).

󰃨 아니라 - 이것의 헬라어 ''는 본절의 맨 뒤에 위치해 있다. 이는 세례 요한이 사두개인들의 질문에 아주 단정적으로 부정했음을 보여준다.

22절 에이폰 운 아우토 티스 에이 히나 아포크리신 도멘 토이스 펨프사신 헤마스 티 레게이스 페리 세아우투

성 경: [요1:22]

주제1: [하나님 아들의 성육신]

주제2: [세례 요한의 증언]

󰃨 또 말하되 누구냐 - 산헤드린의 조사단이 짐작했던 요한의 정체는 그들의 예상을 빗나가 버렸다. 그들의 질문에 대한 세례 요한의 세 차례의 부정은 그들의 조사 활동을 더욱 난감하게 하였을 것이다. ''라고 번역된 헬라어 ''이 논쟁적 어감을 띠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그들의 심정은 더욱 조급해졌음을 알 수 있다.

󰃨 우리를 보낸 이들에게 대답하게 하라 - 사두개인들의 난감함과 조급함의 원인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즉 그들은 진리를 찾는 자들이 아니라 기존 권위의 하수인(下手人)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제 사두개인들은 그들의 추측대로 요한에게 질문하지 않고 세례 요한의 자기 진술을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이어지는 질문인 '너는 네게 대하여 무엇이라 하느냐'는 말은 어떠한 암시도 전혀 개입되지 않은 질문 형태로서 '당신은 자신을 누구라고 생각하고 있소?'(공동번역)라고 번역하는 것이 어감상 잘 부합된다.

[마태복음 산상수훈 헬라어 성경말씀] 이혼에 관한 예수님 말씀(마 5:31-32)

 

[마태복음 산상수훈 헬라어 성경말씀] 이혼에 관한 예수님 말씀(마 5:31-32)

마태복음 5장에서 예수님은 이혼에 관하여 새로운 법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누구든지 아내를 버리려거든 이혼 증서를 줄 것이라고 했지만 예수님은 법을 더 강화하여 누구든지 음행 한 이유 없

cdk15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