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공부자료

[교회 선교학 성경공부] 선교와 선교학이란 무엇인가?

체데크 2022. 3. 2. 09:43
반응형

교회에서 선교를 하는데 오늘은 선교와 선교학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선교와 선교학이란 무엇인가?

 

I. 들어가는 글

왜 우리는 선교하는가? 고대 교회에서는 선교는 항상 교회의 활동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래서 선교 방법에 대해서나 그 사역의 수행과정 등에 있어서 문제시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자기들의 문화 환경 안에서 선교 활동을 수행해왔습니다.

그러나 선교전략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이 선교학이나 선교 이론이 발전되기 오래전부터 있어 왔습니다. 이러한 선교 전략은 종교적 배경(유대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무속 신앙, 정령신앙 등)과 대상, 그리고 주어진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들도 선교에 큰 관심을 기울였는데, 특히 선교 활동에 하나님의 말씀을 적용하려고 한 시도가 보에티우스(Gijsbertus Voetius, 1589-1676)에 의해서 최초로 이루어졌습니다.

 

그 후에 윌리엄 케리(William Carey, 1761-1834), 진첸도로프(Nicolaus Ludwig Zinzendorf, 1700-1760), 프랑케(August Francke, 1663-1727) 등의 노력으로 근대 선교가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선교학 분야의 체계적인 첫 논문은 구스타프 바르넥(Gustav Warneck, 1834-1910)의 복음적 선교학(Evangelische Missionslehre)으로서 오늘날까지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선교학의 개념과 이해에 대한 변천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I. 선교학 용어의 문제

 

1. 증가학 (Prosthetics) 혹은 성장학 (Church Growth)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가 [신학백과사전](The Encyclopedia of Sacred Theology)란 책에서 선교학에 관련된 몇 가지 이름을 제안한 것 중 하나.

사도행전 2:41, 5:14. 11:24에서 빌려온 것으로 헬라어 동사인 공동체에 더하다”(Prostithestai)의 파생어.

증가시키다(auxanics), 퍼뜨리다와 사람을 낚다(halieutics)란 용어도 사용

증가학의 범위를 교회성장 연구에 국한.

J.I. Doedes도 [기독교신학백과사전](Encyclopaedia of Christian Theology, 1876)에서 증가학이란 용어를 선호: 선교학을 아직 비기독교인들이 살고 있는 지역을 기독교화시키는 가장 생산적인 방법을 위한 연구물로 기술

 

2. 사도학 (Apostolics)

사도적 임무의 신학으로 불리움

대표적 사용자: 반 룰러(A. A. Van Ruler), 호켄다이크(J.C. Hoekendijk), 얀센 스쿤호벤(E. Jansen Schoonhoven), 린데(J. M. van der Linde)

사도적(apostolic)’이란 용어와 사도의 임무(apostolate)’의 사용반대 (H. N. RidderbosG. Brillenburg Wurth): ? 보내다(apostellein)의 특수한 활동이 아닌 사도의 증거, 가르침 선포(martyria, didache, kerygma)의 내용과 사도의 진정한 권위를 강조

전도의 신학이란 문구 선택: 마둘(H. J. Margull)[행위의 신학(Hope in Action]) 또는 선교의 신학(Mission Theology)’(영국), 또는 선교의 과학(Science Missionaire)'(프랑스)로 불림.

 

3. 선교학 (Missiology)

어원: 헬라어 동사 보내다의 라틴어 번역으로부터 많은 파생어 'mittere, missio, missiones‘로 나타났다.

사용근거: 1) 예수회(Jesuite)과 가르멜(Camelite) 수도회가 수백명의 선교사를 파송하였던 16세기에는 선교’(missio)라는 파생어만 표면적으로 사용

2)[신앙전도협회](Sacra Congregatio de Propaganda Fide)라는 출판물들도 선교’(missio)를 사용

3) 로욜라(Loyola)의 이그나티우스(Ignatius)와 로이네쯔(Jacob Loynez)는 꾸준히 선교’(missio)란 단어 사용

 

III. 용어의 의미

1. 선교란 무엇인가? (하나님의 선교/인간의 선교)

1)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1952년 서독 빌링겐(Willingen)에서 열린 세계 선교사 협의회에서 삼위일체 논쟁시기에서 나온 용어를 부활시킴

죠지 휘체돔(George Vicedom)1965[하나님의 선교]라는 책을 저술:“그 분, 하나님이 선교의 행동주체시다”라고 주장. 하나님 아버지는 아들을 보내셨고, 아들은 보냄을 받은 자이며, 동시에 보내는 자이시다. 아버지와 함께 아들이 성령을 보내시며, 차례로 성령이 교회, 성도들, 사도들, 일꾼들을 보내시며, 그의 사역을 행하실 때에 사람들을 복종토록 하신다.

하나님의 선교체”: 존테일러(John Taylor)와 요하네스 아꼬르(Johannes Agaard)가 주장

선교들이란 단어는 하나님이 즉, 그의 사역내에 오로지 특정 단체나 개인들을 포함시킬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가 봉사에도 이른다. , 발전에의 참여, 다시 말해서 우리가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할 때 그의 이름으로 완수하도록 부름받은 전체 다양한 봉사들에 참여함에 이르게 한다.”

2) 인간의 선교

교회의 목표와 사역을 철저히 하나님 선교의 선구자이며 온전케 하시는 이(12:2)인 예수의 빛 아래서 보아야 한다는 것

사회에서 행해진 모든 사역들을 그의 영감으로 주심, 인도하심, 지시하심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 현재 선교학자들은 하나님이 역사 내에서 활동하신다는 주장의 과열된 논쟁에 참여하고 있음.

) 구원역사와 세상 역사 내의 사건들을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명백한 것은 아직도 그들이 정확하게 의견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것. 악의 권세들도 또한 역사 내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는 구원역사의 불가피한 진행과정일 뿐 아니라 하나님이 심판자와 해방자(liberator)로 활동하신다는 점에 대항하는 세속적인 요소들도 소유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역사적인 진행과정들을 판단하고 분석하는 범주는 무엇인가? 이점에 있어서 선교 명령을 다할 의무를 가지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은 역사 내에서 활동하신다라는 측면에 있어서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 대해 관심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 이웃이 있는 곳에서 하나님이 일하신다는 것과 메시야 왕국의 표적들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있어서 인간의 선교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3) 하나님의 선교와 인간의 선교: 하나님의 선교와 인간의 선교를 구분하는 것은 오해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며, 교회의 선교는 인간의 선교가 아니며, “교회 사역은 사회 내의 남자들과 여자들의 사역과 완전히 구분된 어떤 것이라고 의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올바른 이해를 위해 이 두 구분은 적절히 선교(mission)이라는 의미를 보완 강조하는 용도로 쓰여져야 할 것이다.

2. 선교학이란 무엇인가?

 

1) 선교학의 개념

정의: 하나님의 나라를 실제화시키는 것과 맞물려 있는 전 세상에 걸친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의 구원 활동들에 관한 연구이며, 이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활동하시는 하나님을 수중들도록 온 세계의 교회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위임 명령에 대한 연구이다.

임무: 교회들이 그들의 명령을 이행하는 전제, 동기, 구조, 방법, 협력의 방식들, 그리고 통솔력을 과학적이고도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

2) 선교신학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레스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교회는 언제나 모든 세대에서 하나님의 말씀의 조명하에서 그의 전통을 새롭게 해야한다.” ([말씀에 따른 선교정책의 검토, Bringing Our Missionary Methods Under the World of God], 1962)개혁된 교회가 선교활동을 통해 참되게 개혁되어야함을 강조. 그러므로 선교신학은 교회의 개혁과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

제럴드 앤더슨(Gerald Anderson): “기독교신앙의 관점에서 세계선교의 동기, 메시지, 방법, 전략, 그리고 목표를 결정하는 기본전제와 근본적 원리들이다...선교의 원천은 그 자신이 선교사이신 삼위 일체 하나님이다....교회사 속에서 콘스탄틴 이후 시대의 선교는 더 이상 기독교 영토의 밖을 향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오히려 모든 세상에 온전한 복음을 전하려는 모든 교회의 공동 증거로서 이해된다.”([기독교세계선교사전, Concise Dictionary of the Christian World Mission], 1971) , 세계선교는 바로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복음전파의 사역이고, 공간이나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영역을 가진 영적인 활동이며, 이것을 학문적으로 실현화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함.

[신약 히브리어 성경말씀 마태복음] 복수에 관한 예수님의 말씀(마 5:38-42)

 

[신약 히브리어 성경말씀 마태복음] 복수에 관한 예수님의 말씀(마 5:38-42)

마태복음 5장에서 예수님은 산상수훈 말씀을 통해서 복수에 관한 새로운 법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율법의 말씀대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갚으라고 말씀하지 않습니다. 용서하라는 계

cdk153.tistory.com

 

반응형